썸 : 영어 'Something'에서 유래된 언어. 연인 관계는 아니나, 연인 관계로 발전 가능성이 있으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뜻하며, 원래는 썸씽이라는 단어로 쓰였으나,
영어 발음과 비슷한 바람에 현재의 단어에 오게 되었고, '썸 탄다' 등의 단어로 쓰인다.
썸을 타는 남자는 썸남, 썸을 타는 여자는 썸녀라고 불린다.
사이다 : 통쾌하고 시원하다는 의미로 쓰이는 감탄사 또는 답답한 상황이 통쾌하고 시원하게
전개되는 것을 가리키는 말.
섹기 : 성적 매력이 매우 강하게 드는 이성에게 쓰는 말.
성진국 : ' 성 선진국'이라는 의미로, 주로 성문화 산업이 발달한 일본을 지칭한다.
썰 : 스레딕에서 파생되어 나온 말. 어떤 경험담 같은 것을 '~설'이라고 한 것에서 나온 말로,
파생된 말로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한다는 뜻의 썰 풀다라는 동사구가 있다.
수치플 : 수치플레이. 수치스러운 상황이 일어났을 때 쓰는 말.
슴가 : 가슴
시발비용 : 스트레스를 받아 홧김에 소소한 물건들을 구매하며 쓰는 비용을 이르는 말.
신박하다 : ' 신기하다 ' 라는 뜻으로 쓰는 말, 게임 WOW 유저들로부터 유래 되었으며
게임내 직업인 신기(신성기사)의 별명인 신박(신성바퀴벌레)을 넣어 사용,
일부 국민들은 표준어로 알고있을 정도로 널리 퍼졌다.
씹다 : ' 무시하다' 또는 '모른체하다'의 뜻으로 쓰는 말.
씹덕 : 일본어 오타쿠를 우리식 발음대로 오덕후라고 부르면서 오덕후보다 심한 사람을
5덕후->10덕후라고 표현하는 십덕후에서 파생된 말로, 주로 아이돌과 결합하여 귀엽다는
의미로 쓰인다. -씹덕스럽다 등
ㅇㅈ, 인정 : ' 인정'의 초성을 따 만든 단어이다. 주로 동의할 때 쓴다.
그에 상대되는 의미로 '노인정', 'ㄴㅇㅈ'을 사용하기도 한다,
아만보 : ' 아는 만큼 보인다'의 줄임말, 주로 프로게이머들의 게임을 훈수하는 유저들끼리
서로를 비난하거나 보호하는 과정에서 유래가 되었다.
안구 테러 : 눈이 오염.
1) 못생긴 사람 또는 못생기게 찍힌 사진을 봤다. 주로 이 경우에 쓴다.
2) 지저분하고 더러운 것 혹은 혐오스러운 것을 봤다.
3) 못 볼 것을 봤다.
안구 정화 : 눈을 정화. 아름다운 풍경이나 인물에 대하여 주로 쓰임.
주로 안구 오염 후에 예쁜것 혹은 멋있는 것 등을 보면 쓴다.
아몰랑 : 논리적인 설명 등을 요구받았을 때 다짜고짜 넘어가는 태도를 비꼬는 단어이다.
처음에는 여성을 혐오하는 단어였으나, 이후로 확장되었다. 인터넷상에서는 오히려
상대방을 범죄자수준으로 끌어내리면서 부탁하는 단어로 변질되었다.
-알못 : '~을(를) 알지도 못하는 사람'의 약자
얀데레 : 애니메이션과 미소녀 게임 등에서 주로 묘사되는 인물의 성격 중 하나로,
한 사람에게 병적으로 집착하는 성격을 가리키는 인터넷 유행어이다.
'병들다'라는 뜻의 일본어 '야무(病む)'와 '부끄럽다'라는 뜻의 일본어 '데레(でれでれ)'를 합쳐서
'얀데레'라고 부르게 되었다.
앙 기모띠 : 기분이 흥분되게 좋다는 뜻의 감탄사.
어장 관리 : 인맥을 위해 적당한 친분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남녀관계에서 자주 사용된다.
오나전 : ' 완전'의 은어.
오우야 : 감탄사로, 성적 자극을 주는 것을 보았을 때 쓰는 말.
오크 : 원래는 게임에서 나오는 못생긴 괴물의 이름이었으나, 못생긴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오크녀, 오크남 등의 말로 응용된다.
반대말로는 엘프가 있다. 오크는 환타지물에 등장하는 종족으로 강한 체력과 완력에
무기를 사용하며 지능을 갖추고 집단생활을 하는 전투종족이다.
인간과 엘프에 적대적인 세력이며 삶의 대부분을 전투로 보내며
그런 탓에 천수를 누리진 못하나 번식력이 강해서 개체수가 유지된다.
올ㅋ : 웃대 막장만화 작가의 만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좀 대단한데? " 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용자 : 일본어에서 유래되었다. 용자는 보통 가공의 영웅, 남들보다 우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에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용사는 공적을 많이 세운 군인 등을 칭할 때 사용한다.
한국에선 '보통 사람들이 하기 힘든 엉뚱한 짓을 하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인증 : 어떠한 사적인 행위나 사실을 증명함. 예를 들어, 새로운 물건을 샀을 때 이를 사진으로 찍어서
자신의 SNS에 올리는 행위를 들 수 있다. 인증을 위해 찍은 사진을 '인증샷'이라고 한다.
인정하는 부분 : 동의한다는 뜻의 '인정'과 어떠한 범위를 일컫는 '부분'이란 단어의 합성어로
남이 한말에 동의를 하는 의미로 쓰인다.
일베충 : 일간베스트 이용자를 이르는 말.
일진 : 학교에서 싸움 잘하는 폭력배를 말한다.
연덕 : 연예인과 오타쿠의 합성어이다. 연예인에게 과도하게 집착한다는 의미이다.
외계어 : 인터넷 공간에서 본래의 말을 과도하게 변형하여 알아듣기 힘들게 쓰이는 은어.
잠수 : 채팅을 잠시 중단하는 것을 물 밑으로 잠수하는 듯 하다 해서 생긴 말로,
피시통신의 대화방에서 유래되었다. 보통 '잠수를 탄다'라고 사용한다. 영어권에는 'afk(Away From
Keyboard)'라는 말이 있다.
예) 님들, 손님이 오셔서 30분 정도 잠수 좀 탈게요. 챗 나누고 계세요.
종결자 : 최고의 수준에 오른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 '킹왕짱'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종결은 ‘일을 끝내다라’는 뜻으로 놈자가 붙어 끝내는 사람의 의미가 된다.
경쟁 할 때 더이상의 경쟁이 무의미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지름신 : ' 물건을 지르고 싶어 하게 만드는 신'을 의미하는 단어로 물건을 사고 싶어질 때
' 지름신 강림'과 같은 식으로 쓰인다. 동사형은 지르다이다.
‘지르고’ 싶은 감정 상태는 뽐뿌라고 한다.
짐승남, 짐승돌 : 짐승처럼 거친 남자를 말한다. 짐승돌은 짐승남들이 모인 아이돌을 칭하는 용어로
많이 쓰인다. 반대말은 초식남이다.
짜지다 : 닥치고 조용히 한 곳에 앉아 있다.
짜져 : ' 닥치고 꺼져'라는 뜻이다.
짱 : 최고라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앞에 여러가지 접두사를 붙이기도 한다.
(예 - 얼짱(얼굴짱), 몸짱, 춤짱 등등) 짱은 장[將]에서 유래된말로 대장 사장 처럼 최고를 의미한다
쩐 : 돈의 은어. 한자 '돈 전' (錢) 자에서 유래되었다.
찌르다 : 일러바치다 라는 뜻으로 쓰인다. 걔가 니가 했던 일을 위엣 놈한테 찔렀어 등으로 쓰인다.
창렬 : (높은) 가격에 비해 품질이 좋지 못한 경우 사용하는 속어. 세븐일레븐에서 판매하는
DJ DOC의 멤버 김창렬을 모델로 한 편의점 도시락 '김창렬의 포장마차' 시리즈가
가격에 비해 품질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났다.
명사로는 창렬, 형용사로는 창렬하다 등 다양한 쓰임새가 있다.
총알 :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사줄 때 사용하는 속어 '쏘다' 라는 속어에 맞춰서 생겨난 단어로,
돈을 뜻한다. (예: "오늘 월급날이라 총알장전!!")
추카포카 : 축하한다는 뜻의 추카에서 라임을 맞추기 위해 포카를 더해 추카포카라 불린다.
천조국 : 국방비에만 천조원을 썼다는 뜻으로 주로 미국을 가리킨다.
칼빵 : 칼부림으로 상대를 죽인다는 뜻이다.
캐붕 : '캐릭터 붕괴' 의 줄임말. 작붕과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다.
케미 : 어울림, 호흡, 교감, 궁합 등이 좋음을 뜻하는 말.
영어 케미스트리(Chemistry,화학반응)에서 유래하였다.
캣맘 : 고양이를 뜻하는 'Cat'과 엄마를 뜻하는 'Mom'의 합성어로 주인 없는 길고양이에게 사료를
먹이거나 자발적으로 보호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클라스 : 영어의 'Class'에서 파생된 언어. '등급'이라는 뜻을 따르고 있다.
보통 '어떤 대상의 수준'이라는 용도로 쓰인다. (예: 대륙 클라스)
토끼다 : 도망을 뜻하는 속어이다.
틀딱충 : '-충'을 결합하여, 노인을 비하하는 말. '노인의 틀니가 딱딱거린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품절남, 품절녀 : 인기가 많지만 이미 결혼할(한) 사람.
포스 :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강력한 기운을 말한다. 스타워즈에서 유래된 말이다.
프사 : 프로필 사진의 줄임말.
파오후, 파오후 쿰척쿰척 : 돼지처럼 살 찐 사람들을 비하하는 말로, 뚱뚱한 사람이 숨을 쉴 때 숨소리가
"파오 후, 쿰척 쿰척" 이라는 소리가 난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품절대란 : 인기가 많아져 품절되고도 사람들이 많이 찾는 물품
하악하악, 핰핰, 학학, 하응, 핡 : 성적 자극을 받았을 때 신음소리에서 비롯되었으며,
성적 자극이 되는 사진이나 영상을 볼때 사용한다.
함정 : ' 낚시'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이 단어가 유행하기 전에는 '낚시'를 자주 썼었지만 외국 흑인이
유희왕 카드를 들고 '넌 내 함정카드를 발동시켰어'라고 하는 짤방이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낚시보다 더 자주 쓰이 되었다. 덕분에 '함정카드'라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헐 : ' 헉'과 동일한 뜻으로, 놀랄 때 쓰이는 말이다. ' 놀라 달아날 헐' 이라는 한자가 있지만,
대다수가 '헐'이란 말을 신조어로 받아들이고 있다.
호갱님 : 호구와 고갱님(고객님)의 합성어. 입으로는 '고객님'으로 받들지만
실제로는 호구로 여기는 현실을 비꼬는 말이다.
호모나게이뭐야 : 게이를 우습게 이르는 감탄사. '어머나'가 '호모나'로, '이게'가 '게이'로 바뀌었다.
호옹이: ' 으아아아'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렸을 때 마치 '호옹이'를 세로쓰기한 것처럼 보여서
그대로 읽은 단어. 비명소리로 사용한다.
혼모노 : 원래는 '진짜'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이나, 한국의 여러 커뮤니티에서 서브컬처계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면서 유행하게 된다.
홍팍 : 야구 커뮤니티 사이트 엠엘비 파크에 기아 타이거스팬들이 많음에 착안해
전라도를 비하한 말인 홍어를 합성한 말(Hong Park)
후방주의 : 컴퓨터로 무엇을 몰래 볼 때 뒤에 누가 있는지 조심하라는 뜻.
주로 야한 사진 따위가 올려진 게시글 등에서 쓰인다.
흑역사 : 지금 생각하기에 누군가의 부끄럽거나 민망한 과거를 표현할 때 쓴다. 일본어에서 유래한 말로,
'어두운 과거'나 '잊고 싶은 과거'로 순화하는 것을 권장한다.
흔한 : 실제로는 전혀 흔하지 않은 것을 반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대한민국 이외 국가의 황당한 사례를 지칭할 때에도 쓰인다.
혐짤 : 혐오스러운 사진을 이르는 말.
훼이크 : 속임수, 속이다를 이르는 말로 영어 단어 fake에서 유래했다. '페이크'로도 쓰인다.
ㄱ: 영어의 '가다'라는 뜻을 갖고 있는 'Go'를 발음하면 '고'라는 단어에서 초성만 떼어서 쓴 것이다.
ㄱㄱ, ㄱㄱㅅ : 각각 '고고'(go go), '고고싱'이라고 읽으며, '가자' 또는 '간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ㄱㄷ : ' 기다려주세요'의 준말. (예: "시작합니다" "ㄱㄷ")
ㄳ 또는 ㄱㅅ : '감사합니다'의 준말.
ㄱㅇㄷ : 개(매우)이득, 큰 이득 보았을 때 사용하는 초성.
ㄱㅊ : ' 귀찮아', '괜찮습니다'나 '같이[가치]'의 준말.
ㄲ, ㄲㅂ : ' 깝' ' 까비' 아까움을 표시하는 초성.
ㄲㅈ : ' 꺼져'의 준말.
ㄴ : 영어로 ' 아니요'라는 뜻을 지닌 ' No'가 발음하면 ' 노'가 되어 이의 초성을 따서 쓰는 신조어이다.
ㄴㄴ : ' 아니다'라는 뜻의 영어 ' No'를 두 개 합친 ' no, no'에서 한글로 바꿔 '노노'의 초성으로 아니다라는
뜻을 가진다.
ㄷㄷ : ' 덜덜 ' 떨릴 정도로 대단하거나 무섭거나, 놀라운 것을 보았을 때 쓰인다.
(강조 표현으로는 ㅎㄷㄷ(후덜덜)이 있다.) ㄷㄷㄷ : '덜덜덜 떤다는 뜻.
ㄷㅊ : ' 닥쳐'의 준말.
ㅁㄴㅇㄹ : 아무 생각 없을 때 쓰는 단어.
ㅁㅊ : ' 미친'의 준말.
ㅂㅂ: ' 바이바이 '의 자음 두개를 따온 말 혹은 ㅂ2ㅂ2의 준말.
ㅄ 또는 ㅂㅅ: ' 병신'의 준말이다.
ㅅㄱ : ' 수고하다', ' 수고해라'의 준말로 주로 작별인사나 상대방에게 '나는 신경 끌 테니 알아서 해라'
라는 뜻으로 쓴다.
ㅅㅂ, ㅆㅂ : 각각 '시발', ' 씨발'의 준말이다.
ㅅㅅ(1) : ' 샤샷 '의 준말. '포트리스2'라는 게임에서 유래된 말로 게임상에서 특정 목적을 달성할 경우에
사용한다. 'ㅅ'의 갯수는 무제한이다.
ㅅㅅ(2) : ' 섹스의 준말이다, 우회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중 하나이다.
ㅇ, ㅇㅇ : ' 응 ', '그래', ' 알았다'는 뜻이다.(≒ㅇㅋ)
ㅇㄱㄹㅇ : ' 이거 리얼(real)'의 초성을 따서 만든 단어.
ㅇㄴ : ' Oh, no~'의 줄임말이다. ' 아놔' 의 줄임말로 주로 상대방이 자기가 싫은 말이나 행동을 해서
꼴사나워 보일때 주의를 주는 말이다.
ㅇㄷ : ' 어디'로 읽으며, ' 어디 있냐'의 준말이다.
ㅇㅂ : ' 일베', '일간베스트저장소'의 줄임말
ㅇㅈ : 물음표를 붙일 경우 ' 인정하지? '라는 뜻이 되고, 붙이지 않으면 ' 인정해 .'라는 뜻이 된다.
ㅇㅋ : ' 오케이'의 준말.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동조를 나타냄.
ㅇㅎ : ' 아하'를 뜻하는 준말. 무언가를 깨달았거나 새로운 사실을 알았을 때 사용함.
ㅈㄹ : ' 지랄 '의 준말로 말도 안 되는 소리를 'ㅈㄹ' 이라고도 한다.
ㅈㅅ : ' 죄송합니다'의 준말이다.
ㅉㅉ : ' 쯧쯧쯧'의 준말로, 주로 상대방을 비하할 때 뒤에 붙는 말이다.
ㅊㅊ : ' 출석 체크'의 준말이다.(≒ㅊㅅ, 출첵),'축축(≒축하)'의 준말이다.(≒ㅊㅋ)
ㅊㅋ : 축하한다는 뜻. (축하 → 추카 → ㅊㅋ)(≒ㅊㅊ)
ㅋㄷ : ' 키득키득 '으로 발음하며 웃는 소리를 뜻한다.
ㅎㅇ : ‘ 하이 ’로 발음되며 영어 인사말 ‘Hi’의 한국발음 준말이다. 또는 '하앍'이라고 발음됨.
ㅎㅎ : ‘ 하하 ’, ‘ 흐흐 ’, ‘ 히히 ’로 발음하며 웃는 소리를 나타낸다.
ㅗ(凸, 昌, 品, 晶, 山) : Fuck, 가운데 손가락 욕을 의미한다.
ㅗㅜㅑ : 오우야
갑툭튀: 갑자기 툭 튀어나오다.
강전 : 강제 전학의 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