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드       : nerd  한 가지 일에 깊이 빠져 세상일에  무관심한 괴짜
그루밍    : grooming  어느정도 호감을 가진 후 성폭행을 저지르는 일
웜          :워마드 줄인 말로 워마드이용자를 지칭
한남충    : 한국남성을 비하하는 욕설
보슬아치 : 여성이 벼슬이나 한 듯하는 것을 비꼬는 말


님비       :  Not in My back-yard 기피시절혐오 
                특정 시설이 자기 지역에 들어 오는 것을 반대 하는 일.  -NIMBY
패완얼    :  '패션의 완성은 얼굴'의 줄임말이다.

피방 : 피시방의 준말.
 
현백 : '현대백화점'의 줄임말.
 
현시창 : '현실은 시궁창'의 줄임말.
 
흠좀무 : ‘흠,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요’의 준말로, 믿을 수 없는 이야기, 놀랄 만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쓰인다.
 
흑형 : ‘흑인 형’의 줄임말. 보통 사람들보다 우월한 능력을 소유한 흑인에 한하여 사용한다. 백인일 경우 '백형'을 사용한다.
 
개이득 : 주로 롤에서 적을 죽이거나 적의 스펠을 뺐을 때 쓰이는 말로 '매우 이득을 보았다'는 뜻이다.
 
개피 :  주로 FPS게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총을 사용해 적에게 타격을 주었으나 죽지는 않고
          피가 많이 닳았다는 뜻, 피가 조금밖에 없다는, 죽기 일보직전이라는 말이다.
 
갱 :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유례한 용어로 급작스러운 습격을 의미한다.
 
겐트위한 : 블리자드사에서 제작한 오버워치의 주요 패배원인 영웅들, 즉 겐지,트레이서,위도우메이커,
               한조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
 
광클 : 미친(狂) 듯이 (마우스 버튼을) 빠르게 클릭함. 컴퓨터 게임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예: '광클 전쟁' 시작됐다. 오늘부터 추석 기차표 예매)
 
길막  : '길을 막는다'의 줄임말. 2000년대 중반, '국민' 게임으로 불렸던 온라인 경주 게임
          '카트라이더(KARTRIDER)'로 뜬 유행어이다. 경기 중에 상대 경기자의 진로를 방해하는
          행위를 뜻한다.
 
너프 :  RPG게임류에서 캐릭터의 능력치를 격하시키는 마법 또는 패치 등을 나타낸다.
         '울티마 온라인'이라는 게임에서 어떤 칼이 너무 사기적이라 판단했는지 그 능력치를 격하시켰는데
          이를 '무슨 너프 사의 칼인가'라는 말에서부터 유래되었다.
         ' 너프 사'는 실제로 장난감 칼을 만드는 회사이다. 이 단어가 만들어지고 후에 ' 버프' 라는 단어가
         파생되어(운율이 맞다는 이유만으로 선택되었다) 나타나게 되어 '능력치를 좋게 한다'라는 뜻으로
        자리잡게 된다.
 
다굴 : 포트리스에서 유래한 말로, '다함께 굴파기'의 약자이다. 여러 명이서 한 명을 공격한다는 뜻이다.
 
득템 : 얻을 득(得)자와 영어의 (Item)를 합성한 말로, 아이템을 얻었다는 뜻.
        게임뿐 아니라 일상적인 대화 상황에서도 어떤 물건을 손에 넣었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렙업(레벨 업, level up) : 캐릭터가 경험치를 쌓아 레벨이 올라갔다는 뜻이다.
                                  (레벨이 내려갔다는 의미는 '렙따')
 
롤(LOL) :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의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라는 게임명을
             줄인 것이다. 흔히 이 게임에 중독 된 사람을 롤독, 롤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어권에서는 'laugh out loud' 의 준말 신조어인 'LOL'과의 분별을 위해 '롤'이 아닌
            ' 리그' ('League')를 사용한다.
 
만렙 : 만(滿) 레벨(Level)의 합성어로 게임에서 지원하는 최대 레벨이라는 뜻이다.
         유사 의미로 '고렙'은 높은 레벨을 뜻하고 '저렙'은 낮은 레벨을 뜻한다.
 
먹자 또는 스틸 : 바닥에 떨어진 아이템을 허락 없이 줍고 도망가는 행위 또는 사람을 가리킨다.
                       ≒ 먹튀, 닌자
 
몹 :  게임상의 적인 '몬스터'의 줄임말. 접미사로 쓰일경우 '어떤 몬스터'임을 말할 때 쓴다.
       (예: 보스몹) 접두사의 경우에는 몬스터를 어떻게 한다는 식의 경우가 많다. (예: 몹몰이)
 
물고기방 PC방   : ' PC'의 발음이 'Fish'의 발음과 비슷한 데서 착안하여 번역한 말.
 
반샷 :  주로 FPS게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저격총을 사용해 적을 때렸는데 죽지 않고 피만 달았을 경우,
          즉, 한 방에 죽지 않았을 경우 사용한다.
 
발컨 : '발로 컨트롤한다'는 말의 약자로 게임을 못한다는 뜻이다. 반대 말로 '신컨'이 있다.
 
백섭(back server) : 게임 서버에 문제가 생겨 부득이하게 캐릭터 플레이 정보를 서버 접속 종료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일. ‘롤백’으로 순화. ≒빽섭·빽썹
 
본캐 : '본(本) 캐릭터'의 준말로, 한 주민번호 당 여러 개의 아이디를 만들 수 있는 사이트
          (예 : 넥슨) 등에서 쓴다.
 
부리야 : 월드오브탱크에서 나온 말로, Tiger전차는 정면에 엔진 (변속기)가 있었는데,
            맞으면 "부리야!!" 라고 소리가 난 것이다.
 
부캐 : '부속으로 딸린 캐릭터로, '본캐'와 반대이다.
 
뽀헤 : 주로 FPS와 같은 게임에서 쓰는 말로 '뽀록 헤드샷'을 뜻한다.
 
샷충 : '스페셜 솔져'라는 게임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샷건인 UTS-15나 M870만을 사용해서
          킬을 따는 사람들을 칭하는 말.
 
순삭 :  '순간삭제'의 줄임말로 어떤 몬스터, 또는 유저가 게임상에서 순식간에 사망하였을 경우 사용된다.
 
스틸 : 주로 온라인게임은 본인의 노력으로 생성된 아아템을 일정시간동한 획득하지않으면,
         타인도 그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권리가 생긴다.
         타인이 그 아이템을 획득하는 현상을 스틸이라고 한다.
 
야필패 : 게임 롤에서 야스오란 챔피언을 잘 사용하지 못할 때 또는 잘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
            반댓말은 야필승.
 
앵벌이 : 레벨업 보다는 게임머니나 아이템을 얻기 위해서 몬스터들을 반복적으로 사냥하는 행위.
           ≒노가다
 
어그로 : 도발을 뜻하는 'Aggravation'을 한국어로 소리나는대로 줄여 쓴말.
            약올려 분쟁을일으키거나 주변사람들을 신경쓰게 하는 행위를 일컫는 말로 RPG게임에서는
           주로 인공지능몬스터가 특정 사람에게 눈을 돌려 쫒아오는 것을 어그로라고 한다.
           인터넷상에선 사람들의 시선을 받기위해 분쟁을 일으키는 행동을 말하며 ’어그로를 끈다’와
           같은 형태로 사용되며, ’광역’이라는 접미사를 붙여 강한 어그로를 표현하기도 한다.
 
열렙 : ' 열심히 레벨-업(level-up)'의 줄임말이다.
          여기서 레벨이란 온라인 게임 내의 캐릭터의 레벨을 뜻한다.
 
입롤 : 게임 리그오브레전드(LOL)에서 '입으로 롤을한다'의 뜻이며, 말만 많은 사람을 빗대어 이르는 말이다.
 
젠 : 영어 generate에서 유래. 필드나 던전 등에서 몬스터가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몹젠, 보스젠)
 
종특 : '종족 특성'의 준말.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유래한 용어로 특정 종족이 가진 고유한 능력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최근에는 사회에서도 사용되는데 특정 인종이나 집단등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능력 또는 성질을 나타내기위해 사용된다.
 
주차 :  잠수와 흡사하게 사용되며 보통 RPG에서 사용된다.
         캐릭터를 특정한 위치에 놔두고 잠수를 타거나 접속을 종료할 경우에 사용한다.
 
지지(GG) 또는 ㅈㅈ: ‘Good Game’또는 ‘Give up Game’의 약자.
                           스타크래프트에서 항복하고자 할 때 대화 창에 치는 명령어에서 유래하였다.
                           어떠한 일을 실패하여 낭패를 보았을 때 사용되기도 한다.
                           질 것 같으면 GG로 인사를 하고 중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고 점차 뜻이
                           '포기한다'의 뜻으로 바뀌게 된다. 게임 시작 전에 GG(Good Game)를 치는 것으로
                           서로 인사를 나누거나, 상대방도 GG로 화답한다.
번호 제목 내용 작성자 등록일 수정일 조회 좋아요 댓글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