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초맨   1) 마초적인 남자, 남자다운 남자를 뜻하는 단어. 원래의 정상적인 뜻이다.
             2) 대마초(=마약)를 한 사람. 'G-Dragon 사건' 이후 마초맨 동영상이 퍼지기 시작하면서
                      급속도로   유 행하였다.
머글      해리포터 시리즈에서 마법사가 마법사가 아닌 일반인을 부를 때에 쓰던 말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흔하디 흔한 일반인'이라는 것을 표현할 때 쓰인다.
먹튀    먹고 튀다 의 줄임말로 인터넷상 다른사람의 소유 아이템을 훔치는 행위
멍 때리다   아무 생각 없이 멍하게 있다.
몸짱  :  2002년 인터넷 신문 딴지일보를 통해 등장한 몸짱아줌마 정다연(1966년생)으로 인해 생겨난
              신조어다. 몸짱에는 운동을 통해서 다듬어진 몸매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일반적으로 몸매가 좋은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유사한 신조어로는 얼굴이 예쁘다는 의미의 얼짱이 있다.
므흣하다  :  흐뭇한 기분을 표현할 때 쓰이던 말이 점차 야한 사진을 볼 때의 기분에 대하여 쓰이게 된다.
                      므훗한 사진 = 야한 사진.
-밍아웃   어떠한 성향이나 소속 따위를 스스로 드러내는 것을 뜻하는 말.
                    성소수자가 스스로 자신의 성정dasd체성을 드러내는 것을 뜻하는
                    '커밍아웃'(coming out)에서 유래되었다. (: 덕밍아웃, 일밍아웃)
반달    문화 · 예술 · 공공 시설을 파괴하는 행위라는 뜻이 담긴 반달리즘(Vandalism)에서 유래한 말로,
               위키백과나 나무위키에 열람된 문서를 고의적 · 악의적으로 반복하여 훼손하거나 삭제하는
                행위를 이르는 말이다.
반품남 , 반품녀   품절남, 품절녀의 반대말로, 결혼했다가 이혼한 남자와 여자를 이른다.
발컨    게임 플레이를 정말 못 하는 사람을 욕 되어 이르는 말. 원래,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
              서 팀전에서 정말 못 하는 사람을 한 누릿꾼이 발로 컨트롤한다는 말로 쓰이다가, 유행되었다.
              차츰 줄여져 현재의 말로 주로 쓰인다.
              신체 부위 중 하나인 발과 통제라는 뜻을 가진 컨트롤 (Control)이 합쳐진 말이다.
              아놔 님 발컨? 등으로 응용하여 쓰인다. 발컨 중에서 정말 못 하는 사람을 이르켜,
              개발컨이라고 한다. 하지만 발이 중요한 축구나 DDR 등에서는 모욕의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방가요 / 방가방가  반가워요라는 뜻이다. 채팅 인사말로 90년대 PC통신 시절 유래한 신조어이며,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배고밀  : 월드오브탱크에서 나온 말로, 105mm 주포를 말한다. T82, T40 등등 전차가 쓰는 주포이다.
배사  배경 사진
번개팅  : '번개 미팅(meeting)'의 줄임말로 PC통신 채팅어에서 유래하였다. 채팅을 통해 친해지면
                 즉흥적인 제안에 따라 실제 만남을 가지게 된다. 번개, 벙개로 쓰이기도 한다.
                  예) 님들! 신촌에서 번개팅 한 번 할래요? 10시까지 신촌에 모였다가 다 오면 다른 곳으로
                         2차 가죠!
볍신    '병신'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또는 순화시켜 쓰고 싶을 경우에 사용한다.
보슬아치   여성의 성기와 '벼슬아치'의 합성어로 '여자라는 성을 벼슬로 알고 악용하는 여성'을 통칭하여 
                      쓰인다. 남자의 경우 '자슬아치'라고 하며 이성이 있을 경우 이런 류의 단어는 가급적 쓰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복돌이   '복사'라는 명사와 '~돌이'라는 접미사의 뜻이 만난 파생어. 정품을 사용하지 않고 불법 복사를
                  통해 게임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부심  쓸모 없는 것에서 자부심을 지니는 일을 비판적으로 이르는 접미사.
           )슴부심(가슴에 대한), 나이부심, 학력부심, (hip)부심, 군부심(군에 관한), 레벨부심 등등
불곰국  : '불곰이 있는 나라'를 뜻하며 러시아를 의미한다.
뷁   :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내는 소리로, 1세대 아이돌인 H.O.T.의 리더 문희준의 노래 가사 (break) 에서
         유래되었다.
뷁어  : 글자 깨짐.
벅세권  햄버거+역세권의 합성어로, 주변의 햄버거 매장 수를 통해 벅세권을 측정한다.
                  좋은 예로, 주변의 패스트푸드 매장을 통해 점수를 측정 해주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빠   : 어딘가에, 특히 한 사람에게 심하게 빠져 타인에게 불쾌감이나 피해를 주는 사람을 비하해서 부르는
            비속어로, 반댓말, 즉 안티를 가리키는 말로는 가 쓰인다. 연예인의 극성 팬의 경우 남자는
            빠돌이, 여자는 빠순이라 부른다.
빡돌다  화가 머리 끝까지 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빡세다  몹시 고되고 힘들다는 뜻을 가진 말로, 특히 군대에서 자주 쓰이는 말 중의 하나이다.
빵국  빵의 나라인 '프랑스'를 일컫는 말.
빵터지다  : 웃음보가 빵 터지다.
빵셔틀  : +shuttle의 합성어로 학교 매점에서 빵을 사다주는 학생, 즉 심부름꾼을 말한다
뽀록  :  Bonus Lucky 에서 유래한 말로, 행운이나 운이 좋은것을 의미한다.
              응용한 예로 '뽀록이다', '뽀록터지다'등이 있다.
뿜다  순간적으로 웃음이 입 밖으로 크게 뿜어져 나옴. 비슷한 표현으로는 '빵 터지다'가 있다.
번호 제목 내용 작성자 등록일 수정일 조회 좋아요 댓글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