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전(갠전)  :    '개인끼리 하는 게임판'을 뜻하는 신조어이다. 반댓말로 '팀전'이 있다.
개인톡(갠톡)  :    카카오톡 등 SNS에서 1:1 채팅을 뜻하는 신조어이다. DM(Direct Messege)와 비슷하다.
관심병  :     인터넷이나 쇼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타인의 관심을 받을 목적으로 글이나 사진을 올리는
                      태도를  병에  비유하는 단어이다. 관심병이 있는 사람을 관심병자라고 하며
                      비슷한 말로 관심종자   (줄여서 관종)가 있다.
귀요미  :    '귀엽다'라는 의미이다. 종종 명사로 '귀여운 사람' 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 어원을 추적해 나가 본다 면     원래 명사 '귀염'에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명사 ''가 붙어
                     '귀염이'였는데, 단어의 귀염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귀요미'로 변했음이 확실해 보인다.
              명사로 쓰이며 뜻은 '귀여운 사람'이라는 뜻이다. 단어 자체가 형용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 에 '귀요미하다'의 형식을 가지고 형용사로도 쓰인다.
귀차니즘 :    '귀찮다'라는 동사와 '~nism'이라는 특정 사상을 지칭하는 접미사의 뜻이 만난 합성어.
                 만사가 귀찮아 평소에도 그냥 귀찮을 경우에 쓰인다. 귀차니스트는 귀찮()에 사람을
                       뜻하는 이스트(ist)를 합성한 말로 귀차니즘에 빠진 사람을 뜻한다.
그린라이트  원래는 미국에서 쓰이는 관용적 표현으로 안전/통과/긍정/허락을 의미하는 신호 불빛에서
                         유래하였다. 한국의 한 커뮤니티에서 남녀 관계에 대하여 사용되면서 유행하게 된다.
글설리  :   글쓴이를 설레게 하는 리플. 일반적으로 전혀 답글이 달리지 않을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설리'로 줄여 쓰이기도 한다.
급식충   '-'을 결합하여, 학교의 급식을 먹는 10대 청소년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김여사  :    사장의 부인이 자가용을 끌고다닌다는 데에서 유래한 김여사는 운전을 못하는 여성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말로 발전했다. 여성 운전자가 도로에서 쩔쩔매거나, 황당한 사고를
                     냈을 때 '김여사'라는 호칭을 쓴다.
-까  :    특정 대상을 싫어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끝판왕  :    게임의 끝판에 나오는 대장 몬스터. 최고 또는 최악을 뜻한다.
낫닝겐  :   사람이 아니라는 뜻으로, 신과 같다는 뜻으로 주로 사용된다. 반대어로는 닝겐이 있다
낚시  :   실제 낚시와 비슷한 뜻으로 물고기를 낚듯 사람을 심리적으로 끌어당기는 행위를 말하며 이 같은
               행위에 조건이 되는 "떡밥" 이라는 표현도 있다.
냥집사  :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을 줄여 냥이집사, 또는 냥집사라고 부른다.
네가지   싹수(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의 방언인 싸가지의 어감을 순화하고자 해서
                  만든 말 ‘싸가지의 첫음절인 가 숫자 4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데서 착안, 이를 4의 고유어
                  인 로 바꾸었. 사가지->4가지->네가지 
                       
노답  :   No + , 답이 없다. 답답한 사람이나 짜증나는 문제 등을 지칭한다.
노잼  :   No + 재미, 재미가 없다는 의미이다.
눈팅   '눈으로 채팅'의 줄임말로 피시 통신의 대화방에서 생겨난 말이다. 대화에 참여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대화글을 읽기만 하는 것을 '눈팅'한다고 하였다.
            게시판의 글을 보기만 하고 추천이나 리플등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그냥 가는 행위를 뜻하기도 한다.
뉴비  초보자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인 'newbie'를 한글로 적은 것이다. 온라인 게임이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얼마 활동하지 않은 이용자를 의미.
늅늅 :    주로 게임 등에서 사용되는 답답하고 멍청한 사람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인 늅(noob)에서
                유래하였다.
느금마 :    '너의 엄마'가 변형된 단어, 상대방의 어머니를 모욕하는 말.
              (너의 엄마-너거 엄마-느그 엄마- 느금마)
-느님  :   하느님의 '' 대신 자신이 좋아하거나 떠받들어 주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넣어 합성한다.
             유느님(유재석), 박느님(박태환), 치느님(치킨),
닝겐  :   사람이라는 뜻으로, 반대어로는 낫닝겐이 있다. "인간"의 일본어 발음 "닝겐"에서 나왔다.
대인배 마음의 씀씀이가 큰 사람. 소인배에서 유래했다. 비슷한 뜻의 표준어로는 성인군자 등이 있다.
대첩 :    원래는 '크게 이김'을 의미하나,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에서 경기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
            비난을 부르는 경기라는 의미로 쓰인다.
돋다  '소름 돋다.' 또는 '닭살 돋다'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오르는 현상을 뜻하는 말로, 앞에 이런저런 말을
            붙여 응용하며, 문장 안에서 뜻을 짐작할 수밖에 없는 애매한 면이 있다. '레알 ~ 돋다로 응용되어 쓰이
            기도 한다.
딸바보 딸을 지극히 사랑하는 아버지를 재미있게 표현한 말이다.
떡실신  경기에서 패배하거나, 어떠한 일이 발생하여 실신한다는 의미이다.
번호 제목 내용 작성자 등록일 수정일 조회 좋아요 댓글 첨부파일